청소년 사전
내 아이를 잘 안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틀린 부모다.
《청소년 사전 : 부모와 아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쓴다》는 아이가 무섭다는 사람들, 아이가 외계인 같다는 사람들을 위한 ‘우리 아이 이해서’이다. 연일 신문지면을 장식하는 바로 그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이자, 그 아이들의 부모님과 선생님들을 위한 이야기이다. “우리 어렸을 때”를 말하며 ‘요즘 아이들’의 잔인함과 무서움을 토로하는 이들에게 그 아이들이 언론이나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외계인이나 괴물이 아니라고, 그들 역시 “우리가 어렸을 때”처럼 아파하고 힘들어하고 그러면서 자라고 있는 중이라고 말한다.
빠르게 바뀌어가는 세상의 속도에 맞추려 안간힘을 써온 우리 기성세대들은 불행히도 자신의 아이들이 세상의 속도에 어떻게 맞춰가며 자랐는지는 보지 못했다. 그리하여 대화는 하나 말은 통하지 않고, 같은 곳을 보나 보이는 것이 다른 상황에 이르렀다. 이제까지 안다고 생각했으나 사실은 전혀 달랐던 청소년들의 생각과 마음, 언어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20년 동안 청소년들을 꾸준히 만나왔던 조재연 신부에게 오는 편지들은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한결같다. “얼마나 망설이다 이 편지를 쓰는지 몰라요. 어쩌면 안 보낼지도 모릅니다.”라는 말로 시작한다. 아마도 그에게 닿기 전에 수많은 편지들이 그대로 휴지통으로 들어갔을 것이다. “이렇게라도 털어놓고 나니, 속이 시원하네요. 이야기할 데가 없거든요.”라는 아이들. 그가 아이들이 보낸 편지에 늦더라도 답장을 보내면 대부분은 회신이 온다. “정말 읽고 답을 해 줄 거라고는 생각 못했어요. 고맙습니다.”라고. 그리고 정말 속 깊은 이야기가 쏟아진다. 아이들은 소통에 목마르다. 그러나 어른들은 그들의 언어를 모르고, 그들이 하는 말을 ‘아이들의 식’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20년간 들어온 10만 청소년과 그 가족들의 목소리를 담은 책,《청소년 사전》
누군들 어린 시절 아픔에 울어보지 않은 사람 있을까. 청소년은 물론 부모님들의 멘토이자 상담자이며 누구보다도 아이를 잘 이해하는 사람으로 20여 년을 살아온 조재연 신부 역시 그랬다. 어린 시절 병원을 집보다 자주 오가며 “죽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그. 여덟 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모두의 사랑을 받았으나, 가장 애착을 가졌던 어머니를 일찍 잃은 뒤, 너무나 부족하고 병약하고 모자란 자신을 견딜 수 없어 방황기를 보냈다. 그리고 그것이 그를 청소년 상담의 길로 이끌었다.
20년 동안, 조재연 신부는 과거 그가 그랬듯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어쩌면 좋죠? 도와주세요.”라고 말하는 길 잃은 청소년과 학부모들을 수없이 만나왔다. 그가 만난 청소년의 수만 10만여 명. 그 속에서 그는 부모와 자식이 분명 서로를 사랑하고 있음을, 또 사랑받고 싶어 함에도 서로의 언어와 표현을 이해하지 못해 갈등할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의 상담실에는 작위적인 위로나 강요도, 명령이나 호통도 없다. 그는 그저 듣고, 기다리고, 상대의 언어로 바꾸어 서로에게 전해 줄 뿐이다.
몰라서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알아도 안 되는 것이다.
어른들은 으레 아이들을 가르치려고 한다. 몰라서 틀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조재연 신부는 그런 어른들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라고 말한다. 그가 상담편지로 들어온 아이들의 생각을 보면 아이들은 사실 몰라서 못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회가 말하는 ‘탈선’이나 ‘비행’의 길로 간 아이들은 스스로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아는데 아는 대로 실행할 수가 없는 것이다. 능력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몸이 안 따르는 경우도 있고, 또 자존심이나 성격 때문에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한 무리의 남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갈취당하고 폭행당한 한 아이는 “맞고 다닌다는 걸 부모님이 아는 게 너무 자존심 상해요.”라고 말한다. “어차피 말해 봐야 일만 커져요.”라고 자포자기하는 경우도 있다. 의논하면 상황 개선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자존심이 상해서’ 혹은 ‘일이 커지는 게 싫어서’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비행청소년으로 낙인찍힌 채 생활하고 있는 한 아이는 “열심히 공부하고 싶어서 해 봤지만 성적이 안 올랐어요. 부모님이 원하는 착한 아들이 되고 싶은데, 아무리 해도 안 돼요. 그러니까 점점 엇나가게 돼요.”라고 고통스러워했다. 자신의 엇나간 행동이 부모님을 힘들게 하고 슬프게 한다는 걸 알기에 마음은 고통스럽지만, 또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도 결과가 좋지 않으니 공부를 하는 모습을 보이고 성실하게 행동하는 것도 바보처럼 느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차라리 이럴 거면 ‘엇나간’ 아이라서 ‘공부를 안 하는’ 것처럼 행동하겠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몰라서 맞고 다니거나, 싸움을 하거나, 공부를 안 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분명 자신에게 피해가 될 것을 알면서도 그들만의 이유가 있는 것이다. 아이들이 그들만의 이유로 행동하는 것을 ‘틀렸다’고 말한다면 당신은 정말 ‘틀린’ 어른이다. 당신이야말로 정말 ‘몰라서 못 하는’ 어른인 것이다.
“우리 아이는 다르다”는 당신들의 슬픈 착각
감히 “내 자식인데 내가 어떻게 몰라요? 우리 애는 공부밖에 몰라요.”라고 생각하지 말라. 왕따를 주도하는 학생 중 반장이 다수 섞여 있으며, 그들은 모범생인 자신이 가진 이점을 무척 잘 알고 있다. “우리 아이는 술담배는 모른다.”라고 장담하지 말라. 중·고등학생 50퍼센트 이상이 흡연과 음주를 접해 본 적이 있으며, 걔 중에는 중독 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도둑질이요? 제가 없이 살아도 아이에게 용돈은 넉넉하게 줍니다.”라고 자신하지 말라. 어떤 아이는 도둑질을 “그냥 나눠 쓰는 거예요. 어차피 제가 큰 이득을 본 것도 아니고 크게 피해를 준 것도 아니잖아요.”라고 말한다. “내 배로 낳은 자식이라 내가 제일 잘 안다.”는 당신의 굳은 믿음은 화석이 된 신화일 뿐이다.
당신들은 ‘바빠서’ 듣지 못했던 이야기를 담은 책!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겠어요.”라고 외치는 아이들. 그들의 주변에는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 돈과 일에 시달리며, 자식이 그렇지 않기를 바란다는 미명하에 ‘성적’과 ‘스펙’만을 말하는 부모님, 언제 자신을 따돌릴지 모르는 친구, 업무에 쪄든 선생님. 누구에게 손을 내밀 수 있을까? 그렇게 안으로 파고들고 안에서 곪아가는 아이들이 보내는 구조요청 신호를 사회는 흘려보내게 된다. 조재연 신부는 고길동 신부로 분하여 그들의 ‘아파요!’, ‘힘들어요!’, ‘도와주세요!’라는 신호를 20년간 받아왔다. 그는 아이들에게 “울지 마.”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또 “이렇게 하렴.”이라고 하지도 않는다. 강요나 명령, 작위적인 위로도 하지 않는다. 아이들의 아픔을 “원래 그런 거야.”라고 하지도 않는다. 아이들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는, 사회는, 어른들은 아이들이 ‘알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지만, 고길동 신부는 지난 20년간 그것을 믿어왔고, 아이들은 기쁘게 그 믿음에 부응해왔다. 고길동 신부가 그들에게 원하는 것은 단 하나다. “다음에도 또 편지로 소식을 들려주겠어요?” 이 사회가 우리의 아이들에게 정말 바라고 원해야 할 것은 그들의 목소리로 된 그들의 소식일 것이다. 바로 그 소식이 《청소년 사전 : 부모와 아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쓴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