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나르시시즘 다시 생각하기
미리보기

나르시시즘 다시 생각하기

저자
크레이그 맬킨 저/이은진 역
출판사
푸른숲
출판일
2017-09-15
등록일
2025-04-02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21M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나르시시즘은 정신장애가 아니라
정상적인 인간 성향이다

“안철수 전 대표의 이미지가 겸손함, 깨끗한 정치 이런 건데 다 없어졌고, 남은 건 인지 부조화, 터무니없는 나르시시즘뿐인 듯하다.” _이상돈 국민의당 의원,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 2017.8.7

“잘나가는 아재들의 지적 나르시시즘의 향연 같다.” _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경향신문〉 ‘세상읽기-알쓸신잡의 매력’, 2017. 8. 3

“나르시시즘 성향의 CEO는 광고비와 연구개발 투자비가 높고, 과도한 부채를 쓰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다.” _오원용 캘거리대 경영대학원 교수, 〈매일경제〉 ‘Biz Prism’, 2017.6.16

인터넷 검색창에 ‘나르시시즘’을 입력하면 정치, 경제, 문화 할 것 없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 단어를 언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나르시시즘을 다룬 여러 책이나 방송은 나르시시스트를 ‘미친 사람’, ‘괴물’,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 ‘극단적 이기주의자’ 정도로 소개한다. 미디어뿐 아니라 일상에서 주변 사람들을 대할 때도 ‘자기표현이 강한 사람’, ‘타인보다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 ‘무리에서 튀는 사람’ 등을 언급할 때 나르시시스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병적인 자기애’를 뜻하는 정신분석학 용어 나르시시즘은 “심리 주제 중에서도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개념이자 본래의 의미가 가장 심하게 왜곡된 주제”(페기 드렉슬러, 코넬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이다. 어떤 사람이 나르시시스트일까? 나르시시즘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자기애와 자존감이 중요한 오늘날, 나르시시즘의 뜻과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푸른숲에서 출간한 『나르시시즘 다시 생각하기: 나르시시즘은 어떻게 자존감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가』는 극단적 나르시시스트였던 어머니를 이해하기 위해 심리학자가 된 하버드 임상 심리학자가 ‘25년 넘게 수많은 임상과 분석을 바탕으로 나르시시즘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을 쓴 크레이그 맬킨 박사는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나르시시즘 전문가 중 한 명이자, 30년 넘게 심리학계에서 정설처럼 받아들여진 나르시시즘에 대한 뿌리 깊은 오해를 밝힌 탁월한 심리학자다. 저자는 오랜 연구 끝에 나르시시즘이 ‘고정된 성격이 아닌 하나의 성격 스펙트럼’이며, ‘치료해야 할 정신장애가 아닌, 살면서 반드시 필요한 심리 요인’이라는 점을 밝혀내 심리학계와 의료계로부터 커다란 주목을 받았다. 맬킨 박사는 지금까지 나르시시즘이 금기시된 이유를 심리학계와 의료계의 오랜 논쟁에서 찾으며, ‘나는 특별한 존재’라는 태도야말로 오늘날처럼 불확실한 시대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세라고 주장한다.

또한 저자는 1979년 도입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자기애적 성격 검사(NPI)’ 항목의 오류를 밝혀내고, NPI의 한계를 보완한 심리 검사 모델인 ‘나르시시즘 스펙트럼 등급(NSS)’을 개발해 대중도 비교적 정확하게 자신의 나르시시즘 지수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NSS는 NPI의 문제를 대신할 수 있는 최신 심리 검사 모델로, 세계 30여 개국에서 활용되고 있다. 맬킨 박사는 따뜻함, 낙관주의, 실행력, 적극성 등 주변 사람들과 조직으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받는 많은 성격 특성이 나르시시즘에서 비롯된다는 점도 증명하며, 사회에서는 ‘허세’ 또는 ‘잘난 척’이라고 질타받는 나르시시즘적 태도가 위기를 극복하고 절망을 이겨내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 수많은 상담치료 사례로 증명한다.

어머니를 이해하기 위해 시작했던 조사는 또 다른 통찰로 이어졌다. 나르시시즘이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적당한 나르시시즘은 행복하고 충만하고 결실을 맺는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꼭 필요하기까지 하다. 내가 알아낸 바로는, 자신이 특별하다는 생각은 우리가 더 좋은 연인이 되게 하고, 용기 있는 리더가 되게 하고, 용감무쌍한 탐험가가 되게 해준다. 우리가 더 창의적인 사람이 되게 하고 심지어 더 오래 살게 해줄 수도 있다. _16~17p, 들어가는 말

많은 사람들처럼 나는 자라는 동안, 내가 특별하다는 생각을 용납하지 못했다. 그런 생각을 해보는 것조차 겁이 났다. 누군가 나를 칭찬하면 움츠러들거나 애써 무시했다. (…) 그러나 결국 나는 어떤 태도도 충만한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끊임없이 회의를 품어도, 허세를 부려도 소용없었다. 그런 태도는 나를 외롭게 할 뿐이었고,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는 존재가 되게 했다.

다행히 나는 변화했고 바람직한 균형점을 찾아냈다. 그리고 나와 똑같은 행동을 답습하는 다른 사람들을 도왔다. 임상의로서 나는 우리 안에 나르시시즘이 너무 적든 너무 많든, 누구나 성장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_18~19p, 들어가는 말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지금껏 알 수 없었던 나르시시즘의 분명한 개념과 유래는 물론, 나르시시즘을 건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실용적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나르시시즘 지수를 검사하고 나르시시스트인 가족, 동료, 이웃에게 대처하는 방법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저자동일
함께 대출한 도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