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
- 저자
- 박상철,권순용,강시철 저
-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사
- 출판일
- 2025-07-09
- 등록일
- 2025-09-1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6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노화는 퇴보가 아니다, 설계할 수 있는 미래다!”AI와 바이오 기술이 바꾸는 노화 산업노화 연구 40년, 의료 과학 IT 권위자들이 전하는 인사이트《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는 노화 연구 40년의 한국 노화과학 개척자 박상철 교수, 국내 최초 스마트병원 설계 및 디지털 헬스케어의 선구자 권순용 교수, 그리고 IT 산업과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이끌어온 강시철 박사가 함께 쓴 책이다. 저자들은 노화를 ‘피할 수 없는 자연 현상’이 아니라, ‘조절하고 설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바라본다. 유전체 분석, 줄기세포 치료, AI 기반 예측 의료, 노화 세포를 겨냥한 신약 등 첨단 기술은 이미 인간의 생물학적 시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건강 수명의 연장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나노 로봇, 디지털 트윈, 유전자 편집 기술 또한 연구 단계를 넘어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 책은 세계 각지와 국내에서 진행 중인 실제 임상 실험과 기술 개발 사례를 통해, 노화 산업의 현재 위치를 생생하게 보여 준다.저자들이 말하는 노화는 단순히 ‘오래 사는 법’에 그치지 않는다. 생물학적 수명을 넘어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주목한다. 기술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는 삶의 형태, 존엄과 자율성을 지키는 의미 있는 노년이야말로 우리가 마주한 진짜 과제다. ‘홀리 에이징(Holy Aging)’은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노화를 창조적인 여정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안한다.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는 과학과 기술의 진보에 윤리적 고민과 사회적 맥락을 더해, 노화를 다시 정의한다. 초고령 사회에 접어든 지금, 기업과 산업, 그리고 개인이 함께 준비해야 할 새로운 생애 전략을 제시하는 이 책은 ‘얼마나 오래 살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일이지만, 그 방향과 속도는 스스로 설계할 수 있다.
저자소개
마케팅 전문가이자 트렌드 기획자. 1980년대 초 고려대학교를 졸업한 뒤 오리콤에서 일했다. 1990년대 말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을 즈음 비즈니스의 거대 담론은 인터넷이었지만 당시 사람들에게 낯선 분야였다. 그때 인터넷 관련 비즈니스 연구에 뛰어들어 남들보다 한발 앞선 산업 전략과 트렌드를 제시했다. 그 후 30여 년간 인터넷 비즈니스,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등을 연구하며 IT업계 최고 권위자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1987년 미국 오리건대학교, 2014년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강의했다. 저서로 《메타의료가 온다》, 《AI 빅히스토리 10의 22승》, 《인공지능 네트워크와 슈퍼 비즈니스》, 《디스럽션》, 《핸디캡 마케팅》,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 등을 출간했으며, 대한민국 혁신기업 대상(2020년), 대한민국 최고 경영자 대상(2018년), 한국을 빛낸 창조경영 대상 (2017년)을 수상했다. 현재 AMD인베스트먼트그룹 회장으로 재직 중이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우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목차
여는 글: 회색 쓰나미가 아니라 금빛 물결이 되어야 한다1장. AI가 이끄는 바이오 혁신의 시대AI와 바이오의 만남, 무엇이 달라지고 있을까?AI 기반 의료 혁신과 노화 경영의 시대수십 년에서 수개월로 단축된 신약 개발유전체학으로 완성하는 내 몸에 꼭 맞는 맞춤 치료의료 혁신을 이끄는 세 가지 키워드2장. 과학이 설계하는 수명 연장의 청사진영존의 과학, 존엄한 수명을 설계하다텔로미어를 조절하면 정말 늙지 않을 수 있을까?대사 조절, 노화를 늦추는 또 다른 방법호르몬 요법, 몸속 시계를 되돌릴 수 있을까?늙은 세포를 제거하면 젊음이 돌아올까?3장. 재생의학 죽어 가는 세포에 생명을 불어넣다줄기세포와 복제 기술, 노화에 맞서는 생명공학생명과학이 다시 쓰는 노화의 시간표혈액 속에 숨은 회복의 비밀을 찾다생명을 출력하는 시대, 장기를 3D 프린트하다4장. 뇌신경과학, 치매 없는 세상은 가능한가?뇌과학이 말하는 건강한 노화의 조건뇌 가소성, 인지 능력을 되살릴 수 있을까?잃어버린 뇌 기능, 회복의 실마리를 찾다생각으로 기기를 조종하는 시대, BCI의 도래5장. 엑소스켈레톤, 시니어의 삶을 바꾸다고령화 시대, 걷고 움직일 자유를 되찾다작고 똑똑한 엑소스켈레톤, 일상에 혁신을 입히다창조하는 시니어를 만드는 엑소스켈레톤의 진화엑소스켈레톤이 구현하는 자율의 기술자율주행차와 엑소스켈레톤이 만드는 시니어의 자유6장. 생명공학으로 다시 쓰는 노화와 장수의 경계 생명과학으로 노화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유전자를 자르는 가위, 인간의 수명을 디자인하다 유전자 맞춤 시대, 노화의 경계를 허물다암 정복을 이끄는 CAR-T 세포 치료법생명을 조립하는 기술, 합성생물학유전자에서 찾는 젊음과 장수의 가능성유전자를 다루는 시대, 윤리를 묻다7장. 나노 기술, 몸속으로 들어간 의사몸속 깊이 들어온 나노 기술나노 로봇과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내 몸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나노 센서DNA를 조립해 생명을 설계하는 시대8장. 디지털 의식 시대,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의식을 저장하고 확장하는 시대양자 컴퓨팅으로 여는 신경 인터페이스의 세계의식의 디지털화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디지털 존재로 확장된 인간9장. 디지털 공생 기술, 인간을 다시 설계하다디지털 공생, 창조적 노화의 길을 열다기술과 함께 진화하는 노화의 풍경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몸과 하나가 된 기술AR과 VR이 확장하는 시니어의 감각과 경험몸속으로 들어간 기술, 생체 임플란트의 가능성10장. K-시니어와 휴먼 플랫폼 혁명디지털 플랫폼이 여는 K-시니어의 새로운 역할고령화에 맞서는 기술 플랫폼의 진화세대 격차를 넘어 연결되는 사회한국형 시니어 기술 모델,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닫는 글: 불멸을 꿈꾸는 시대,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참고 문헌 및 출처사진 및 일러스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