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정치적 올바름’은 항상 올바른가?
왜 자기과시를 위한 도덕은 위험한가?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언어 사용이나 활동에 저항해 그것을 바로잡으려는 운동이나 철학을 가리킨다. 이 사회적 약자에는 여성, 장애인, 빈곤층, 흑인 등이 포함되며, 이들에 대한 언어적 차별과 모욕에 대한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는 자신이 도덕적이고 정의로운 사람이라는 것을 세상에 알리는 무대로 만들어 “누가 더 도덕과 정의에 충실한 사람인가?”를 겨루는 전쟁터가 되었다. 이들은 자신을 도덕과 정의의 화신인 양 여길 수 있게끔 그런 담론을 끊임없이 구사한다. 이는 ‘정치적 양극화’의 동력이 된다. 정치적 쟁점이 도덕과 정의의 문제가 될수록 사람들이 그 쟁점에서 타협할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도덕과 정의는 얼른 듣기에는 아름답지만, 그것이 현실과 동떨어질 정도로 과장되면 끝없는 분란의 씨앗이 되고 만다.
그러니 자기과시를 위한 도덕이 위험하듯이 자기과시를 위한 PC도 위험할 수밖에 없다. 특히 정치인들은 자신의 이념적 순수성을 과시하기 위해 타협을 거부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드러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음이 잘 맞는 진보주의자들과 수다를 떠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그들이 자신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애정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누군가 도덕적으로 시간당 최저임금이 15달러여야 한다고 주장하면, 다른 누군가가 그것을 20달러로 제도화하는 것이 가난한 사람들을 더 신경을 쓰는 것 아니냐고 할 것이고, 이런 식의 논의가 진행되다 보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짐작할 수 있다. 어디 그뿐인가? “누가 더 경쟁 집단의 견해를 공격하고 경멸하는 데에 유능한가?”를 겨루는 경쟁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강준만의 『정치적 올바름』에서는 PC를 둘러싼 찬반 논쟁과 논란에서 어느 한쪽의 편을 들기보다는 양쪽의 소통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정치적 양극화’가 극단적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소통과 화해는 인기가 없는 주제지만, 그렇다고 모두 양극화 선동가들에게 놀아날 수만은 없는 일 아닌가? 저자는 PC의 3대 쟁점을 탐구함으로써 이 논쟁의 원활한 소통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3대 쟁점은 자유, 위선, 계급이라는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PC 운동이 애초에 ‘인간에 대한 예의’에서 출발한 것임에도 어떤 사람들이 그 예의를 지키지 않거나 소홀히 대한다는 이유로 그들에게 너무 거친 비판을 퍼부음으로써 ‘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는 것은 자기모순이다.
저자소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2013년에 ‘증오 상업주의’와 ‘갑과 을의 나라’, 2014년에 ‘싸가지 없는 진보’, 2015년에 ‘청년 정치론’, 2016년에 ‘정치를 종교로 만든 진보주의자’와 ‘권력 중독’, 2017년에 ‘손석희 저널리즘’와 ‘약탈 정치’, 2018년에 ‘평온의 기술’과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2019년에 ‘바벨탑 공화국’과 ‘강남 좌파’, 2020년에 ‘싸가지 없는 정치’와 ‘부동산 약탈 국가’, 2021년에 ‘부족주의’, 2022년에 ‘퇴마 정치’와 ‘좀비 정치’ 등 대한민국의 민낯을 비판하면서 한국 사회의 이슈를 예리한 시각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정치 무당 김어준』, 『퇴마 정치』, 『정치적 올바름』, 『엄마도 페미야?』, 『정치 전쟁』,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약탈 정치』(공저),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힐러리 클린턴』, 『도널드 트럼프』,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3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외 다수가 있다.
목차
머리말 왜 자기과시를 위한 도덕은 위험한가? · 4
제1장 ‘정치적 올바름’의 소통을 위하여
‘정치적 올바름’이 촉발한 ‘문화 전쟁’ · 17│PC는 ‘나치돌격대의 사상 통제 운동’인가? · 21│PC의 연구 주제와 언론 보도 주제의 다양성 · 25│‘자유, 위선, 계급’이라는 PC의 3대 쟁점 · 28│자유 :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의 갈등 · 32│“자유는 건전한 절제를 전제로 한다” · 37│위선 : ‘말과 행동의 괴리’로 인한 갈등 · 40│고소득·고학력 좌파가 주도하는 PC · 45│계급 : ‘정체성 정치’와 ‘계급 정치’의 갈등 · 48│PC를 통제하는 브레이크는 여론이다 · 52│‘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는 PC · 56
제2장 왜 싸이의 ‘흠뻑쇼’ 논쟁이 뜨거웠는가?
‘외눈박이’, ‘성적 수치심’, ‘~린이’ 표현을 쓰지 마라 · 63│배우 이엘과 작가 이선옥의 논쟁 · 67│『경향신문』과 『중앙일보』의 시각 차이 · 70│‘도덕적 우월감’ 없는 문제 제기는 가능한가? · 72│“슬랙티비즘은 사회 참여 첫걸음이다” · 75│좌파 지식인들의 PC 비판 · 78│PC 언어가 잔혹한 현실을 은폐한다면? · 80
제3장 ‘정치적 올바름’의 생명은 겸손이다
‘정치적 올바름’, 겸손하면 안 되나? · 85│좌파이자 동성애자인 사람이 왜 PC를 반대하나? · 88│“파멸하지 않으려면 이분법 광기를 멈춰야 한다” · 91│지금까지 즐겨온 농담을 할 자유의 침해 · 93│‘장애우’는 ‘누군가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망언’인가? · 97
제4장 SNS가 규제하는 ‘유치원 국가’가 좋은가?
‘정치적 올바름’의 변질 과정 · 105│‘안전’의 ‘은밀한 개념 확장’ · 108│소셜미디어의 포로가 된 i세대 · 110│“어린이에 해를 끼치고 분열을 조장하는 페이스북” · 112│소셜미디어의 ‘가해자 지목 문화’ · 116│“학생들의 나약함을 신성시하는 분위기” · 119│“학생들은 반드시 만족시켜야 하는 소비자” · 121
제5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가해자 지목 문화’
‘끔찍한 고문’의 잔치판이 된 명절 · 127│미국에서 아시안에 대한 미묘한 차별 · 129│동성애자·트랜스젠더 차별 · 132│미세먼지처럼 해롭고 만연한 ‘먼지 차별’ · 134│‘의도’를 완전 무시해도 괜찮은가? · 137│SNS가 부추긴 ‘가해자 지목 문화’ · 140│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캠퍼스 문화 · 143│‘피해자 의식 문화’를 넘어서 · 145
제6장 ‘언더도그마’와 ‘약자 코스프레’의 악순환
약자는 늘 선하고 고결한가? · 153│왜 9·11 테러리스트들의 ‘용기’를 거론하나? · 155│‘샤덴프로이데’는 인간의 보편적 특성인가? · 158│이준석이 장애인 시위에 제기한 ‘언더도그마’ · 160│‘약자 코스프레’와 ‘피포위 의식’ · 164│권력 재생산을 위한 ‘피해자 서사’ · 166│‘약자 코스프레’의 탐욕인가? · 168│“모두가 누군가에게는 언더도그다” · 171
주 ·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