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숙
1936년 동아일보 에 연재된 단편 소설. 일본인 상점의 점원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나 가 사회주의 운동을 한 후 생활고에 빠진 숙부를 조롱하고 비판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부정적 인간이 긍정적 인간을 조롱·비판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이중(二重)의 풍자성을 지니고 있다. 치숙 은 1인칭 주인공인 소년이 혼자서 이야기를 지껄이는 형식으로 일관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일본 군국주의가 우리 나라를 식민지로 점령하여 경제적 수탈과 정치적·문화적 탄압을 서슴지 않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자조와 비판을 바탕으로 사회에 대한 풍자를 주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칭찬비난의 역전 기법 으로 사상의 자유로운 토론을 금지하는 일제의 강압 통치를 조롱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앞의 길잡이 에서 이 소설은 이중의 풍자성을 지닌다고 했는데 이 말은 풍자하는 주체와 풍자되는 대상을 함께 조롱한다는 의미이다. 즉 소설 치숙 은 표면상으로는 긍정적인 인물로 나 를 내세웠지만 사실은 현실에 야합하는 나 를 부정하고 있다. 그러나 나 의 논리를 명쾌하게 반박하지 못하는 아저씨 의 한계도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