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들의 행복한 유언
2009년, 우리는 왜 ‘유언’에 주목해야 하는가?
김수환 추기경, 노무현 전 대통령, 자선의 여왕 브룩 애스터 등 세상을 사랑한 39인! 유언을 통해 행복하게 잘 사는 삶을 가르치시다!
남아 있는 이들에게 큰 가르침을 주는 유언은 그 어느 명언보다 힘이 세다.
나 자신을 챙기기보다는 다른 이를 먼저 생각하고 사람을 귀히 여기며 사랑을 주고 가신 분들의 삶은 그 어느 문학 작품의 감동보다 더 큰 울림을 준다.
이 책은 김수환 추기경, 노무현 대통령, 브룩 애스터 여사, 존 레넌, 오드리 헵번 등 국내외 유명인사 39인이 마지막 남긴 유언과 그들의 삶을 소개함으로써,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되돌아보는 책이다. <유언>이라는 코드는 죽음을 상징하지 않고, 오히려 ‘살아감’이라는 현재형 그리고 ‘살아가야 할 날들’이라는 미래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들이 남긴 한 마디와 그 말을 남기기까지의 인생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하나같이 ‘바보’같은 삶을 살았다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바보’란 ‘자기만 챙기며 살기 보다는 다른 이를 생각할 줄 알고, 사람을 귀하게 여기며 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그리고 ‘자신이 정한 원칙과 소신을 끝까지 지켜내며 살아가는’ 사람을 뜻한다.
그래서 이 ‘바보’ 39인이 남긴 유언은 그 어떤 명언보다 강한 가르침을 주고, 그 어떤 문학 작품보다 진한 감동을 준다. 한 인물의 이야기가 끝날 때마다 저자들이 운문처럼 짧은 코멘트를 달아 그 감동을 하나의 메시지로 정리해준다.
유언은 미래형이다?
유언은 죽음에 임하여 남기는 말로, 한자로는 遺言이라 쓰지만 영어로는 ‘will’이라 표현한다. 遺言이라는 한자어가 ‘마지막’ 또는 ‘마침표’의 의미가 강하다면, ‘will'은 의지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더 익숙한 만큼 미래를 향해 있는 단어다. 결국, 삶의 마침표인 죽음을 앞두고 남기는 말인 유언은, 자신의 결말을 위한 것이 아니라 앞으로 더 살아가야 할 후손들의 미래를 위한 엄숙한 가르침인 셈이다.
죽음이 대문 앞까지 찾아와 문을 두드릴 때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그 마지막 한마디에는 그 사람의 삶이 고스란히 들어 있을 것이다. 즉, 누군가 남긴 유언을 보면 그 사람의 삶을 짐작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사람은 누구나 ‘어떻게 살 것인가’ 끊임없이 고민한다. 반면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대한 답은 미루어 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훌륭한 삶을 살다간 이들이 우리에게 남긴 유언을 곱씹어 보자면, 이 두 가지 고민이 다르지 않다는 걸 알게 된다.
누가 어떤 말을 남겼나?
“고맙습니다. 서로 사랑하세요.”
2009년 2월, 김수환 추기경이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며 남긴 말이다. 나라의 어른이자 세상을 정화시키는 맑은 물처럼 살았던 추기경의 유언은 그의 인생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김 추기경은 각막을 기증함으로써 마지막까지 다른 이들을 위해 베푸는 삶을 실천했다.
이슬람 무장 괴한의 총에 맞아 죽으면서도 “용서해요.”라는 말을 남긴 레오넬라 수녀, 평생 시골 교회 종지기로 가난한 삶을 살았으나 10억이 넘는 인세를 “북측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보내달라”는 유언을 남긴 동화작가 권정생, “소유주식 14만 941주는 전부 한국 사회 및 교육 원조 신탁 기금에 기증하고, 아들 유일선은 대학까지 졸업시켰으니 자립해서 살아가거라.”며 재산을 모두 사회에 환원한 유일한 전 유한양행 회장 역시 평생 추구해온 삶의 가치관을 몸소 실천하고 떠난 이들이다.
특별한 유언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삶 자체로 훌륭한 메시지를 전한 이들도 있다. 남편의 유산 2억 달러를 모두 문화·환경·자선 단체 등에 기부한 ‘자선의 여왕’ 브룩 애스터는 “돈은 비료와 같아서 여기저기 뿌려줘야 한다.”는 평소의 가치관을 실천하며 살았다. 그녀는 천수를 누리다 105세의 나이로 임종하며 자신의 시신 역시 대학병원에 기증했다.
제6대 WHO 사무총장에 선출된 후, 3년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인류의 건강을 위해 봉사하다 뇌경색으로 타계한 이종욱 박사 역시“옳다고 생각하면 행동하라.”를 실행에 옮겼으며, 뮤지컬 <렌트> <틱틱붐> 등을 만들고 36세에 요절한 천재 음악가 조너선 라슨은 “오늘이 아니면 시간이 없다”는 자신의 노랫말처럼, 매순간 열정을 쏟으며 살다 불멸의 작품을 남긴 사람이다.
훌륭한 사람만이 좋은 유언을 남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에는 마약에 중독된 채 경관을 살해한 사형수가 마지막 남긴 유언도 실려 있다. 그는 사형이 집행되기 전 마지막으로 받아든 자신의 식사를 거리의 노숙자들에게 나눠주라는 말을 남겼다. 이 유언은 미국 시민들의 마음을 움직여 그 지역 노숙자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치게 했다. 필립 워크맨은 살아 있는 동안 잘못된 선택을 하고 범죄를 저지르기도 했지만, 다시 삶이 주어진다면 오히려 자신의 몫을 타인과 나누며 살아가고 싶다는 소망을 그렇게 전달했던 것이다.
39인의 메시지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이 책은 한 인물이 남긴 유언, 그 인물의 간단한 약력 소개로 시작해 어떤 삶을 살았기에 그런 말은 남겼는지를 차근차근 따라가 보는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널리 알려진 인물에서는 그가 남긴 족적을 다시 한 번 환기하는 의미가 있겠고, 낯선 이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는 새로운 지식을 쌓아가는 즐거움도 누릴 수 있다.
이야기가 끝나면 그 인물을 통해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볼 만한 것은 무엇인지를 저자가 짧은 멘트로 정리해준다. 그것이 새롭거나 대단한 것들은 아니다. 그러나 시처럼 짧고 힘 있는 두어 마디의 멘트가 있어, 그 인물이 걸어온 인생 여정과 그가 남긴 ‘Will’ 즉, 앞으로 살아갈 우리들에게 던지는 미래형 화두가 더욱 구체적인 메시지로 가슴에 꽂힌다.
“과거는 평가이고, 오늘은 실천이며, 미래는 계획입니다. 내일의 멋진 삶을 꿈꾼다면 오늘에 충실하세요. 당신의 내일은 오늘 결정합니다.”란 코멘트처럼, 이 책은 이미 세상을 떠난 이들의 말을 담은 과거형 책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진지한 질문을 던지는 ‘오늘’의 책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