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치동에서는 요즘 초등의대반이 대세라던데…”
“특목고에 가는 게 변화하는 대학입시에 유리할까?”
공교육 & 사교육 트렌드 총망라, 변화에 발 빠르게 대비하라!
* 교육의 최전선 대치동 사교육 트렌드 완전 분석
* 초중등 학부모를 위한 ‘2028 대입 개편’ 핵심 정리
지난해 『우리 아이 미래를 바꿀 대한민국 교육 키워드7』에서 핵심 키워드를 제시하며 요즘 입시에서 많이 회자되는 키워드를 알려준 ‘교육대기자TV’ 방종임 편집장과 최고의 입시 전문가 이만기 소장이 이번에는 사교육과 공교육의 트렌드를 총망라해 교육계를 뒤흔들 키워드를 소개한다.
2023년 기준 초?중?고 사교육비는 27조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한다. 학령인구는 계속 줄어드는데 사교육비는 끝을 모르고 치솟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자녀가 남들보다 뒤처질까봐 불안해서” 사교육을 시킨다고 한다. 즉, 사교육 시장은 학부모의 불안을 먹고 크는 셈이다.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 불안한 부모를 위한 2025 대한민국 교육 키워드』에서는 사교육 일번지 대치동부터 의대 블랙홀에 빠진 학원가, 초등 때 대학 수준을 결정한다는 초등결정론, 일타강사 대중화까지 사교육의 트렌드를 낱낱이 분석한다. ‘카더라’가 아닌 확실한 분석과 진단으로 차분히 ‘우리 아이에게 필요한 사교육’이 무엇인지 고민할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2025년 학부모가 가장 주목해야 할 6가지 키워드를 선정해 대한민국 교육의 흐름을 짚어준다. 2025년 교육 키워드의 방향성은 ‘변화’다. ‘2028 대입 개편’, ‘고교학점제’, ‘전공자율선택제’, ‘수능 이원화’처럼 초중등 아이들이 당장 맞닥뜨리게 될 교육제도 변화에 따른 핵심 사항을 정리하고 대비책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비한 ‘디지털 문해력’과 맞벌이 증가로 보육이 고민인 부모들을 위한 ‘늘봄학교’와 같이 사회 변화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학부모가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다루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 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아이에게 맞는 교육과 입시 전략을 세우고 싶은 학부모라면 이 책을 꼭 살펴보자.
저자소개
현재 ㈜UWAY 교육평가연구소장이다. 인하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및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박사과정을 중퇴하였다. 서울교대 교육전문대학원 교육경영 CEO 과정과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최고위과정(FCC)을 수료하였다.
경기 안중고등학교, 인천 문일여자고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했으며, 이후 경민대 아동독서지도과 외래교수, 경민대영유아보육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EBS 강사와 강남구청 인터넷 방송 강사 및 자문위원, 인천교육청 교원연수원 외 각 교육청 교사연수 강사, 각 지방자치단체 대입 관련 행사 초청연사로도 활동했다.
EBS, Megastudy, Uwayedu, IPTV교육방송 국어 논술 강사, EBS 라디오 국어듣기 강사, EBS 대학진학가이드, 즐거운 책 읽기, 청소년 상담실 MC를 지내고, 현재에도 EBS 입시 설명회 강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사 시절에 인천광역시 교육감 표창,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2017 대학입시 로드맵』 『EBS 수능어휘사전』 『한국의 대표설화』 『면접 한판승』 『세상에서 가장 쉽게 배우는 논술』 『사설, 어떻게 읽을 것인가』『즐거운 시여행』 『이만기의 언어영역 절대어휘』 『언어영역이 대학을 결정한다』『이만기 백승호의 교대 사범대 입시 논구술특강』 『이만기 선생님의 언어영역 실전유형 벼락치기』『이만기, 논술에 미쳐 학교를 떠나다』 『한국의 대표 단편 소설』 『한국의 대표 고전 소설』 『전우치전』 『사씨남정기』 『남북한 속담의 비교 연구』 외 국어 참고서 및 문제집 다수가 있다.
목차
프롤로그 키워드를 알면 변화하는 교육도 두렵지 않다PART 1 대한민국 사교육 트렌드01 의대 블랙홀에 빠진 학원가 “지금 사교육의 최전선에는 ‘의대’를 향한 열망이 있다”02 대치 쏠림“대치동 트렌드가 곧 대한민국 사교육 트렌드다”03 초등결정론“초등부터 달리는 입시 열차에 올라탈 것인가”04 일타강사 대중화“전 연령대로 확산되는 고등 일타강사”PART 2 교육을 움직이는 6가지 키워드키워드 01·2028 대입 개편“바뀐 입시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할까”키워드 02·고교학점제“가장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과목을 찾아라” 키워드 03·디지털 문해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시대의 읽기 능력” 키워드 04·전공자율선택제“아이의 전공을 언제 결정할 것인가” 키워드 05· 수능 이원화“언젠가 찾아올 논·서술형 입시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키워드 06· 늘봄학교“학교가 끝난 뒤에도 아이가 방치되지 않도록” 에필로그 교육 불안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화를 얻기를 바라며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