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본 전자책은 문화관광부가 전자책 산업을 견인할 대표적인 작품으로 선정하고, 제작비를 지원한 특수기획 전자책입니다. 한국의 전통국악기 83종 전체에 대해 다루고 있는 책으로써, 생경한 단어의 풀이와 출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주석 처리를 하였으며, 검색 기능과 중요 부분을 체크 해놓을 수 있는 표시기능을 통해 책 읽기의 재미를 배가 시키도록 구성했습니다.
우리나라 악기는 전통적으로 크게 세 분류로 나누는데, 향악기ㆍ당악기ㆍ 아악기로 음악의 계통에 의해 분류하는 『악학궤범』(樂學軌範)의 분류방법이 있다. 이러한 분류방법 외에도 악기의 재료에 따라서 분류하는 방법인 『증보문헌비고』(補文獻備考)의 분류방법이 있으며, 또한 서양의 고전적 악기분류방법에 의거해 나누는 방법도 있다. 악기의 재료에 의해 나누는 방법은 금(金)ㆍ석(石)ㆍ사(絲)ㆍ죽(竹)ㆍ포(匏)ㆍ토(土)ㆍ혁(革)ㆍ 목(木)으로 여덟 가지의 팔음(八音)이 있으며, 연주법에 의해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로 나누는 서양악기의 분류방법이 있다.
본 책에서는 이러한 악기의 세 가지 분류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분류하였다. 곧 서양악기의 분류방법을 이용하면서 『악학궤범』과 『증보문헌비고』의 배열순서를 따랐다.
한국의 전통음악은 국악기의 분류방법과 같이 세 가지 음악의 갈래로 나누는데, 향악 당악 아악으로 분류한다. 때문에 전통음악과 함께 악기의 분류방법을 이해해야만 국악기에 대해 분명하게 알 수 있으므로, 주로 연주되는 편성악곡을 함께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대학교의 국악학과(한국음악학과)에서 전공하여 주로 다뤄지는 단소ㆍ편종ㆍ편경ㆍ해금ㆍ대금ㆍ피리ㆍ장구ㆍ북 아쟁ㆍ양금ㆍ가야금ㆍ거문고 등은 물론, 지ㆍ약ㆍ적ㆍ소ㆍ관ㆍ생황ㆍ훈ㆍ금ㆍ슬ㆍ축ㆍ어ㆍ부에 관해서는 위와 같은 틀거리로 삼아, 심도 있게 다루었다. 한편 각 국악기의 연구와 더불어 현재의 악기사진과 아울러 『악학궤범』에 수록되어 있는 당시의 악기그림을 수록하였다.'
저자소개
- 1972-1975 : 영남대학교 음대 기악과 졸업.
- 1976-1977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음악교육) 졸업.
- 1988-1990 : 영남대학교 음악대학원(국악이론) 졸업.
- <대구시사>와 <경상도칠백년사> 음악부문 집필위원.
- 금복문화예술상(1994) 서양음악부문 수상
- '94국악의해조직위원회 학술부문상 수상.
- 경북대ㆍ대구산업정보대ㆍ대구예술대ㆍ안동대ㆍ영남대 강사 역임.
- 현재 한국음악사학회(<한국음악사학보>) 책임편집위원, 대구향토문화연구소(<향토문화>)연구위원.
<저서>
- <매일신문음악기사색인>. 경산 :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 <한국음악론전 >. 경산 : 영남대학교출판부, 2002.
- <매일신보음악기사총색인>. 서울 : 민속원, 2001.
- <대구음악사>. 대구 : 대구광역시남구대덕문화원, 2000.
- <증보판 한국음악개론>. 서울 : 민속원, 2000.
- <영남음악사연구>. 서울 : 민속원, 1999.
- <영남일본음악기사집>. 대구 : 도서출판 대일, 1997.
- <한국음악개론>. 서울 : 동진음악출판사, 1996.
- <대구양약사연구>. 대구 : 도서출판 대일, 1996.
- <한국음악사의 큰별>. 대구 : 중문출판사, 1994.
- <한국음악의 인식과 비평>. 대구 : 중문출판사, 1993;증보판(1995)
- <악내연구론>. 대구 : 도서출판 대일, 1991.
- <대구매일신문 음악기사집>. 대구 : 도서출판 大一, 1990.
- <모짜르트의 삶과 예술>. 대구 : 흐름사, 1989;증보판(이문출판사,1991).
목차
* 머리말
* 사진 찾아보기
* 그림 찾아보기
* 악보 찾아보기
* 표 찾아보기
Ⅰ. 국악기의 분류와 음높이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법(『악학궤범』의 분류방법)
2. 악기재료에 의한 분류법(『증보문헌비고』의 분류방법)
3. 연주법에 의한 분류법(서양악기의 분류방법)
4. 국악기 및 악곡의 음높이
Ⅱ. 관악기편
1. 금:대금ㆍ중금ㆍ소금
1) 대금의 유래와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2) 대금의 구조와 주법
3) 대금의 편성악곡
2. 당적(唐笛)
3. 지
1) 지의 유래와 구조
2) 지의 음역과 주법
4. 소관자(小管子)
5. 약
1) 관악기사와 약의 유래 및 구조
2) 약의 음역과 주법
6. 적
1) 적의 유래
2) 적의 음역과 주법
7. 소(簫)
1) 소의 악기사
2) 소의 구조와 주법
3) 소의 편성악곡
8. 퉁소(洞簫)
9. 단소(短簫)
1) 적(笛)류의 악기사
2) 단소의 유래
3) 단소의 정신적ㆍ음향학적 배경
4) 단소의 구조와 주법
10. 관(管)
1) 아악(雅樂)과 음계
2) 관의 유래
3) 관의 구조와 주법
4) 관의 음역과 편성악곡
11. 피리:향피리ㆍ세피리ㆍ당피리
1) 피리의 악기사와 유래
2) 피리의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3) 피리의 구조와 주법
4) 피리의 편성악곡
12. 태평소(太平簫)
13. 생황(笙簧)
1) 생황의 악기사와 유래
2) 생황의 정신적ㆍ음향학적 배경
3) 생황의 구조
4) 생황의 주법과 음역 및 화성
14. 훈(塤)
1) 토적(土笛)의 악기사와 훈의 유래
2) 훈의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3) 훈의 구조와 주법 및 음역
15. 나각(螺角)ㆍ나발(喇叭)
16. 초적(草笛)
Ⅲ. 현악기편
1. 아쟁(牙箏)
1) 쟁(箏)의 악기사와 아쟁의 유래
2) 아쟁의 용도와 구조
3) 아쟁의 주법과 조현
2. 해금(奚琴)
1) 찰현악기사(擦絃樂器史)와 해금의 유래
2) 해금의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3) 해금의 구조와 주법
4) 해금의 편성악곡
3. 거문고(玄琴)
1) 지판(指板)의 악기사
2) 거문고의 유래
3) 거문고의 구조와 주법
4) 거문고의 조현과 음역
5) 거문고의 편성악곡
4. 가야금(伽倻琴)
1) 가야금의 악기사
2) 가야금의 유래
3) 가야금의 구조와 주법
4) 가야금의 조현과 편성악곡
5. 대쟁(大箏)
6. 금(琴)
1) 금ㆍ슬(瑟)의 악기사
2) 금의 유래와 구조
3) 금의 조현과 주법
7. 슬(瑟)
1) 슬의 유래와 구조
2) 슬의 조현과 주법
8. 향비파(鄕琵琶)
9. 당비파(唐琵琶)
10. 월금(月琴)
11. 공후:수공후ㆍ와공후ㆍ소공후
12. 양금(洋琴)
1) 양금의 악기사
2) 양금의 유래
3) 양금의 구조와 주법 및 조현
4) 양금의 편성악곡
Ⅳ. 타악기편
1. 편종(編鐘)
1) 종(鐘)의 악기사와 편종의 유래
2) 편종의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3) 편종의 구조
4) 편종의 편성악곡
2. 특종(特鐘)
3. 방향(方響)
4. 운라
5. 편경(編磬)
1) 경(磬)의 악기사와 편경의 유래
2) 편경의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3) 편경의 구조와 장식
4) 편경의 주법과 편성악곡
6. 특경(特磬)
7. 자바라
8. 징(鉦):대금(大金)ㆍ소금(小金)
9. 박(拍)
10. 축
1) 체명악기사(體鳴樂器史)와 축의 유래
2) 축의 정신적 배경과 구조
3) 축의 주법과 편성악곡
11. 어
1) 어의 유래와 정신적 배경
2) 어의 구조와 주법
12. 부(缶)
1) 부의 유래
2) 부의 연주 및 편성악곡
13. 장구ㆍ북
1) 타악기사와 장구ㆍ북의 유래
2) 장구와 북의 정신적ㆍ음향적 배경
3) 장구와 북의 구조와 주법
14. 절고(節鼓)
15. 진고(晋鼓)
16. 교방고(敎坊鼓)
17. 갈고ㆍ용고(龍鼓)
18. 중고(中鼓)ㆍ소고(小鼓)
19. 건고(建鼓)
20. 삭고(朔鼓)
21. 응고(應鼓)
22. 뇌고(雷鼓)
23. 뇌도
24. 영고(靈鼓)
25. 영도
26. 노고(路鼓)
27. 노도
28. 도
Ⅴ. 기타 악기편
1. 둑(纛)
2. 정(旌)
3. 휘(麾)
4. 조촉(照燭)
5. 순(錞)
6. 탁
7. 요
8. 탁(鐸)
9. 응(應)
10. 아(雅)
11. 상(相)
12. 독(牘)
13. 적(翟)
14. 간(干)ㆍ척(戚)
Ⅵ. 부록편
1. 『악학궤범』의 악기고
1) 아악기
2) 당악기
3) 향악기
2. 음악용어 해설
3. 한국음악의 용어 통일안
1) 악기용어
2) 악곡용어
3) 일반용어
4. 중요무형문화재 현황
Ⅶ. 영인편:『악학궤범』의 악기편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