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과학분야에서 일본 노벨상수상자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 저자
- 비피기술거래 저
- 출판사
- 비티타임즈
- 출판일
- 2019-03-11
- 등록일
- 2019-06-11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6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일본에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와,우리나라에서 노발상이 잘 나올 수 없었던 이유!일본과의 비교분석을 통한대한민국 과학계의 미래 조망어릴적 누구나 한번쯤 알프레드 노벨이라는 사람의 위인전을 읽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개발한 발명가로, 그는 죽기 전 위대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한 상을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 오늘날 그의 유언은 현실이 되어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문학 등 그가 가장 사랑했던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하는 노벨상이 탄생하게 되었으며, 노벨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이 되었다. 한국은 매 연말마다 매체를 통해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나는 노벨상 수상에 관심을 표하지만, 국민들은 한국의 수상이 아주 먼 얘기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한국인이 노벨상을 수상한 경우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뿐이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발표한 2016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한다. 아울러, 한국은 명실상부 세계에서 인정받는 IT강국 중 하나로, 동아시아에서 일본과 더불어 과학과 기술력에 있어서는 상위권에 속하는 국가 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과학은 기술수준이 높지만 독창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일본의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접근하여, 일본의 노벨상 수상 사례들과 학계 구조 등 여러 환경적 요인을 분석해보고,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저자소개
시장조사전문기관으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인쇄전자 산업분석 보고서』, 『국내외 게임시장 산업분석 보고서』, 『사물인터넷 산업분석보고서』, 『조명시장과 OLED 시장보고서』, 『MEMS 기술산업전략보고서』, 『반려동물 산업과 첨단 기술의 만남』, 『방열소재 시장과 기술동향』, 『모바일화에 따른 온라인 문화콘텐츠산업 동향』, 『미세먼지에 관련된 국내시장에 대한 전망분석 보고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정책 및 시장과 개발 업체 동향, 기술현황과 사업아이템』, 『듀얼 카메라 시장조사 보고서』, 『전통문화의 시장 및 기술동향 전통식품』,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용 화학』 등을 저술하였다.
목차
1장. 서론 12장. 노벨상이란 무엇인가? 2 1. 노벨상과 역사 2 2.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53장. 전 세계의 노벨상 수상 국가 7 1. 최근 과학계의 노벨상 수상 국가 7 2. 선진국의 노벨상 독점 7 3. 노벨상 수상 동향 분석 10 3-1 경제력이 노벨과학상에 미치는 영향 10 3-2 언어가 노벨문학상에 미치는 영향 11 4. 주요국의 연구개발 투자동향 144장. 시대변화 반영하는 노벨상의 흐름 165장. 미국, 독일 노벨상의 비결 - 분석과학의 힘 18 1. 독일 18 2. 미국 186장. 일본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26 1. 일본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26 2.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과 성과 소개 28 2-1 화학분야 수상자 28 2-2 물리학상 수상자 38 2-3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51 2-4 문학상 수상자 58 2-5 평화상 수상자 647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1 - 기초과학연구 67 1. 기초과학 육성을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 67 2. 노벨상의 비결은 ‘사회기반’이었다! 68 3.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의 현주소 698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2 - 기업문화 70 1. 일본 기업의 지원과 배려문화 70 2. 창조성을 살리는 자유로운 기업 풍토 729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3 - 헤소마가리 정신 76 1.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의 사례 7610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4 - 과거부터 이어져 온 개방적 태도 7711장 노벨상의 그림자 - 노벨상 수상의 이면 79 1. 경직된 일본 기업문화의 피해자 - 나카무라 슈지 교수 79 2. 일본 노벨상 프로젝트의 적신호 - 이공계 기피 현상과 기업의 실용주의 체제 8012장. 한국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 - 네이처(Nature)가 뽑은 5가지 이유 8313장. 한국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 85 1. 한국의 노벨상 수상이 어려운 이유 85 2. 국내 과학계의 안타까운 현주소 87 3. 국내 과학계에서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들 9014장. 결론 93[표 차례]표-1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수와 해당국가 GDP와의 비교 10표-2. 노벨 문학상 국가별 수상자 수와 언어별 수상자 수 비교 12표-3. 화학상 수상자 26표-4. 물리학상 수상자 26표-5.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27표-6. 문학상 수상자 27표-7. 노벨 평화상 27표-8. 김필립 교수 약력 91[그림 차례]그림-1. 다이너마이트와 노벨상의 창시자인 노벨 2그림-2. 노벨상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메달 3그림-3.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5그림-4.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 도쿄공업대 영예교수 7그림 ―5. 미국·영국·독일 3개국 노벨상 비중 8그림-6. 노벨상 시상식 9그림-7. 국가별 총연구개발비 추이(2009년~2013년) 11그림-8. 왼쪽은 뢴트겐 부인의 손을 x선으로 촬영한 모습. 오른쪽 사진은 뢴트겐의 사진이다. 18그림-9.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9그림-10 어윈 네어(Erwin Neher) 19그림-11. 버트 자크만(Bert Sakmann) 19그림-12. 게르하르트 에르틀(Gerhard Ertl 20그림-13. 전체 노벨상 수상 현황(1991~2009) 21그림-14.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인 폴 모드리치와 아지즈 산자르 22그림-15. 아흐메드 즈웨일(Ahmed Zweil) 캘리포니아공대 교수 23그림-16. 필릭스 블로흐(Felix Bloch)와 에드워드 퍼셀(Edward Purcell) 23그림-17. 어니스트 로렌스 24그림-18. 사이클로트론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나타낸 그림 24그림-19. 네기시 에이이치 교수 28그림-20. 팔라듐 29그림-21. 스즈키·미야우라 반응의 촉매 사이클 30그림-22. 시모무라 오사무 31그림-23. 다나카 고이치 32그림-24. 노요리 료지 33그림-25. 시라카와 히데키 35그림-26. 폴리아 세틸렌 분자 구조 36그림-27. 후쿠이 겐이치 37그림-28. 가지타 다카아키 38그림-29. 서드버리 중성미자 관측소와 태양 발 중성미자 탐지 40그림-30. 아카사키 이사무 41그림-31. 아마노 히로시 41그림-32. 나카무라 슈지 41그림-33. 청색 발광다이오드 원리 42그림-34. 마스카와 도시히데 43그림-35. 고바야시 마코토 43그림-36. 난부 요이치로 43그림-37. 고시바 마사토시 45그림-38. 에사키 레오나 47그림-39. 에사키 다이오드 48그림-40. 도모나가 신이치로 49그림-41. 유카와 히데키 50그림-42. 오스미 요시노리 51그림-43. 오무라 사토시 53그림-44. 야마나카 신야 55그림-45. 만능줄기세포(iPS)의 사용 과정 57그림-46. 도네가와 스스무 58그림-47. 오에 겐자부로 59그림-48. 오에 겐자부로 - 개인적인 체험 60그림-49. 가와바타 야스나리 62그림-50. 가와바타 야스나리 - 설국 64그림-51. 사토 에이사쿠 65그림-52. 슈퍼 가미오칸데 68그림-53. 노벨상 수상자인 다나카 고이치 씨(49) 왼쪽 70그림-54. 다이쇼 시대의 이화학연구소 78그림-55.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인 나카무라 슈지 교수 79그림-56. 2010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인 스즈키 아키라 훗카이도 대학 명예교수 81그림-57. GDP 대비 R&D 투자 비중과, SCI급 논문 편수 83그림-58. 우리나라 주입식 교육의 본질 85그림-59. EBS 다큐프라임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5부 말문을 터라'의 한 장면 87그림-60. 노벨상 과학분야 국가별 수상자 수 89그림-61. 김빛내리 서울대 석좌교수 90그림-62. 김필립 교수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