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한 돌봄과 임종을 희망하는 사람은 돈이 많거나 운이 좋아야 한다 그렇게 사람들은 각자도생, 각자도사한다” 의료인류학자 송병기가 한국 사회 생애 말기와 죽음의 현실에 대해 던지는 묵직한 질문들
의료인류학자 송병기가 터부와 혐오를 넘어 우리의 일상과 공동체를 ‘죽음’이라는 렌즈로 들여다본다. 노화·돌봄·죽음을 연구하는 의료인류학자로 생애 말기 현장 연구를 해온 저자는 『각자도사 사회』에서 집, 노인 돌봄, 호스피스, 콧줄, 말기 의료결정에 이르기까지 생애 말기와 죽음의 경로를 추적한다. 나아가 무연고자, 현충원, 웰다잉 등의 키워드에 질문하며 죽음을 둘러싼 국가와 개인의 관계, 관련 정책, 불평등 문제를 보여준다.
저자소개
의료인류학자. 파리대학교병원(AP-HP) 의료윤리센터와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에서 생애 말기 돌봄을 연구했다. 프랑스와 모로코의 노인요양원, 일본의 노인요양원 · 호스피스, 한국의 대학병원 · 호스피스 · 노인요양원 · 노인요양병원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동료들과 함께 쓴 책으로 『죽는 게 참 어렵습니다』가 있다. 현재 죽음과 불평등의 관계를 의료, 금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1부 각자 알아서 살고, 각자 알아서 죽는 사회 1 집 - 집은 좋은 죽음을 보장하는 장소인가2 노인 돌봄 - 노인은 국가의 짐인가3 커뮤니티 케어 - 누구나 말하지만 아무도 모르는 정책4 호스피스 - 왜 호스피스는 ‘임종 처리’ 기관이 되었나5 콧줄 - 콧줄 단 채 생의 마지막을 맞아야 하는가6 말기 의료결정 - 누구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까7 안락사 - 왜 어떤 사람들은 스스로 죽음을 앞당기고 싶어 할까2부 보편적이고 존엄한 죽음을 상상하다 8 제사 - 죽은 이를 기억하는 방법이 이것밖에 없을까9 무연고자 - 갈 데 없는 삶과 법으로 처리되는 죽음10 현충원 - 그곳에 ‘보통 사람들’은 없다11 코로나19 - 국민의 생명을 지킨다는 말은 무엇일까12 웰다잉 - ‘잘 죽기 위해 잘 살아야 한다’는 말이 감추는 것들13 냉동 인간 - 초인간적인 미래, 비인간적인 현실14 영화관 - 함께 죽음을 보면서 삶을 실감하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