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익의 Dreamer
적성을 찾기에 앞서 자신의 성격을 알아야한다
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람은 자신의 타고난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 타입으로 나눈다. 머리형, 가슴형, 장형 등이 그것인데, 이렇게 나누어진 세 가지 유형에 따라 개인의 적성과 진로, 인간관계가 달라진다. 부모님과 형제, 친구들, 선생님과의 관계가 모두 이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다.
꿈을 찾아 도전하기 전에 나의 성격 유형을 알아두면 나는 어떤 사람이며 어떤 성격을 타고났는지, 어떤 일을 해나가야 좋을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즉 자신의 성격의 특징과 적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처럼 자신을 이해하는 것은 가깝게는 고등학교나 대학에 진학할 때, 멀게는 인생에 대한 비전과 꿈을 수립하는 데도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를 알고 내 성격을 알아야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내게 맞는 학과와 직업은 어떤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세 가지 유형
?
머리형 brain centered type : 머리의 지식 에너지를 주로 사용한다.
가슴형 heart centered type : 가슴의 감정 에너지를 주로 사용한다.
장형 body centered type : 아랫배 부근의 에너지를 주로 사용한다.
나의 성격을 알고 나면 자신의 타고난 재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머리형, 가슴형, 장형의 근본적인 차이는 에너지의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다. 머리형이라고 해서 감정이 없는 것도, 장형이라고 해서 이성적인 사고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중심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가치의 우선순위나 그에 따른 행동의 순서가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보면 적잖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성적 판단을 중요시 여기는 머리형은 상황과 정보를 먼저 찾고, 감정을 중시하는 가슴형은 위안과 공감에 우선순위를 둔다. 반면 장형은 행동과 결과를 최고로 한다. 성격의 차이란 다시 말해서 어떤 가치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느냐의 차이인 셈이다. 바로 그 가치에 따라 욕구가 달라지며 준비하는 방법과 위험에 대처하는 방법 또한 그러하다. 바로 이런 차이를 두고 우리는 ‘성격이 다르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 종이에 적어놓고 확인한다
한 대학에서 인구통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구의 3%가 큰 성공을 거두어 상류층을 형성하고 있고, 10%는 비교적 여유 있게 살고 있으며, 60%는 겨우 생계를 꾸려가고 있고, 나머지 27%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어렵게 살아가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대목은 바로 3%의 상류층 사람들은 글로 쓴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반면 10%의 중산층은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있긴 했지만 이를 글로 쓰지는 않고 마음속에만 품고 있었다고 대답했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대부분 뚜렷한 목표도 없이 인생을 살아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꿈의 수첩을 만드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단적으로 설명해 주는 조사결과다.
게다가 이 3%란 숫자는 우연히도 나비의 알이 나비가 될 확률과도 맞아떨어진다. 물론 꿈의 수첩을 만드는 것만으로 꿈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꿈을 적어놓은 종이 그 자체에 마법이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꿈을 문서화하는 동안 우리의 머릿속에는 수많은 그림이 그려지게 된다. 자신이 꿈을 향해 노력하는 모습, 성공해서 기뻐하는 모습, 단란한 가정을 이루고 예쁜 집에서 사는 모습 등이 머릿속에 펼쳐지며 각인된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보다 강력한 행동의지를 갖게 되는 것이다.